영화 '박열'서 유창한 일본어 연기로 호평
"일제를 조롱한 청춘 커플의 투쟁기…통쾌함 선사할 것"

▲ [메가박스 플러스엠 제공]
▲ [메가박스 플러스엠 제공]
"오디션에 계속 떨어져서 힘든 적도 많았지만 이 길이 과연 내 길일까 의문을 가진 적은 한 번도 없었어요. 계속 버텨보자는 생각으로 친구들과 함께 돈을 털어서 직접 연극을 만들어 무대에 올리면서 쉬지 않고 연기를 계속 해왔죠."

이준익 감독의 영화 '박열'에서 여주인공인 일본 여성 가네코 후미코 역을 맡은 최희서는 이 감독의 전작인 '동주'(2016)에서 윤동주를 짝사랑하는 일본 여성 쿠미 역을 맡아 일본어 연기를 선보이며 이름을 알린 배우다.

이 감독의 작품에 연달아 출연하며 최근 '이준익의 뮤즈'로 떠오르고 있지만, 2009년 영화 '킹콩을 들다'로 데뷔해 10년 가까이 연극과 영화, 드라마를 오가며 경력을 쌓아온 '중고 신인'이다.

초등학생 시절 5년간 일본에 살았던 경험 덕분에 유창한 일본어 실력을 지닌 그는 고교 시절을 미국에서 보내 영어에도 능통하고, 연세대를 졸업한 소위 '엄친딸'이다. 하지만 자신의 프로필을 본 사람들로부터 "왜 연기를 하느냐", "아깝다"는 얘기를 계속 들으면서 선입견을 주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포털사이트 프로필에서 학력을 일부러 지웠다고 한다.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초등학생 시절 처음 접했던 연극 무대를 통해서였다.

"일본의 한인 학교에서 하는 연극 '심청전'에서 주인공 심청을 맡았는데 그때 무대에 서는 게 좋아서 언젠가는 연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어렴풋하게 가졌어요. 미국에서 고등학교 다닐 때도 연기 수업을 들으면서 학교 무대에 섰고요. 대학 들어가자마자 찾아간 곳도 입학실이 아니라 연극 동아리였죠."

2009년 영화 '킹콩을 들다'로 연기자로 데뷔한 그는 이후 오디션에 수없이 떨어지면서 힘든 나날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연기자로서의 길을 택한 것을 한 번도 후회해본 적은 없다고 한다. 힘든 시절에도 학창시절 만난 친구들과 함께 돈을 모아 직접 연극을 만들고 극장을 대관해 무대에 올리며 연기를 쉬지 않고 이어왔다.

당시 연극 연습하러 가는 길에 지하철 안에서 대본 연습을 하던 최희서의 모습이 '동주'의 제작자인 신연식 감독의 눈에 띄면서 '동주'에 캐스팅됐고, 이준익 감독과의 인연은 '박열'로 이어졌다.

오는 28일 개봉하는 '박열'은 간토 대학살이 벌어졌던 1923년 당시 일제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목숨을 걸고 투쟁했던 조선의 아나키스트 '박열'과 그의 동지이자 연인인 일본 여성 '가네코 후미코'의 실화를 그린 작품이다.

그는 "가네코 후미코는 그동안 한국영화에서 보기 힘들었던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라며 "자신의 사상과 가치관을 거리낌 없이 표현하고 생각을 행동에 옮긴 진취적인 여성이었다"고 말했다.

영화 속에서 가네코 후미코는 강인하면서도 유쾌함과 순수함을 지닌 캐릭터로 그려진다. 권력을 부정했던 아나키스트이면서 박열에게 자신을 여자로 보지 말고 동지로 보라고 이야기하는 페미니스트이기도 하다.

"그녀의 사상과 이념은 많은 서적이나 재판기록에서 볼 수 있고 시나리오에서도 정확히 나타나요. 그녀의 자서전을 읽으면서 '그녀를 이렇게 만든 게 뭘까' 생각해보니 조선에서 권력계층으로부터 핍박받으며 지냈던 유년기의 경험이 권력을 부정하는 아나키스트가 되는 데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년 시절의 아픈 경험 때문에 나락으로 빠질 수도 있는데 오히려 그 때문에 권력계층에 대한 저항심이 샘솟았다는 것이 매력적이었어요."

최희서는 자신의 연기에 대해 "아쉬운 부분이 있긴 하지만, 시사회를 통해 영화를 접한 분들이 후미코가 참 독특하고 매력적인 캐릭터라는 얘기를 해 주시니 기분이 좋다"며 "연기자로서 재미있으면서도 고민되는 부분이 캐릭터를 만들어가는 것인데 그 작업을 좋게 봐주신 것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박열'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했지만 시종일관 유쾌한 분위기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기존 작품들과 차별화된다.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우울하거나 잔인할 거라는 선입견을 가질 수 있지만, 이 영화는 유쾌한 남녀 커플의 투쟁 기록이라는 게 관전 포인트가 아닐까 생각해요. 일본 권력에 짓눌리지 않고 오히려 그들을 조롱하고 그들에게 정면으로 맞서면서 일본 제국을 가지고 놀 만큼 패기 있었던 젊은 청춘의 이야기라는 데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어요. 영화를 보면서 많이 웃고 통쾌해 하실 수 있을 겁니다."hisunny@yna.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