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나라 의료관광 산업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환자가 전년보다 23% 늘어난 36만 4000명이며, 총 진료 수입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8606억원을 기록했다. 2009년 이래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환자수가 누적 156만명에 진료비 총액도 3조원을 누적 달성했다. '의료한류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올만하다.

우리나라의 의료기술이 상당 수준에 이르렀고, 우리나라 의료비가 다른 나라에 비해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환자가 중국에 치우쳐 있고 진료과목도 특정 과목에 편중돼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환자 국적별로 보면 중국(12만 7000명), 미국(4만 8000명), 일본(2만 6000명), 러시아(2만 5000명), 카자흐스탄(1만 5000명) 순이다.

올해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 같다. 중국의 '사드보복'으로 한국행 단체 관광 상품 판매를 금지한 터라 지난 3월만해도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36만782명)는 작년 같은 달보다 40%나 줄었다. 중국 의료관광객의 단체비자 발급에 제동이 걸려 의료 관광 예약 취소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대전시의 경우 올해 외국인 환자 유치 목표인 1만명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의료관광 시장의 다변화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게 하루아침에 해결될 사안도 아니다.

각 지자체마다 경쟁이 치열하다. 연관 산업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인 까닭이다. 최신 의료 시설과 의료기술을 구비한 병의원 인프라를 토대로 각 지역마다 특화된 의료관광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지역별 환자 유치 실적을 보건대 아직도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비중이 78.2%을 차지한다. 서울(59.5%), 경기(15.1%), 대구(5.8%), 부산(4.8%), 인천(3.6%) 순이다. 충청권은 거론하기조차 민망할 만큼 초라한 수준이다.

의료관광은 융복합 서비스 산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병·의원은 물론 해외 의료관광 마케팅, 의료코디네이터, 의료통역사 등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가 그룹의 네트워크 역할이 크다. 관광명소, 호텔, 음식점, 백화점 등 지역의 관광 및 유통업계도 연관돼 있다. 의료관광객의 구미에 맞는 맞춤형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타깃 마케팅 전략이 핵심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