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본이 '한반도 전쟁설'을 부추기며 호들갑을 떠는 바람에 일본 관광객 유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일본 정부가 한반도 유사시 일본인 보호방안 및 피난대책을 공식 거론하자 일본인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올해 초 중국과 사드 갈등 이후 일본 관광객 유치를 통해 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려 했던 국내 관광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일본이 한반도 위기설의 강도를 연일 높이는 저의를 의심해볼만 하다. 주한 일본대사관이 지난 1일 주한 일본인 대상 '안전 매뉴얼'에 대피시설 정보를 추가했고, 11일에는 외무성 '해외안전 홈페이지'에 "북한이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반복하고 있으므로 한반도 정세 정보 주의"를 당부하고, 한국 내 일본인 학교에도 주의 요청 이메일을 보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7일 한반도 유사시 일본으로 유입되는 피난민에 대해 선별적으로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나섰다. 북한 핵 위기에 맞서 국제사회의 견제와 압박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서 일본의 석연찮은 오버액션은 자칫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다.

당장 일본인들에게 주는 메시지가 구체적이다. '해외안전 홈페이지' 공지 이후 일본 학생의 수학여행 취소와 일본인 관광객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나라현 지벤학원(智辯學園) 고교 등 3개교는 서울·경주·부여로 수학여행을 하기로 했던 당초 일정을 연기했다고 한다. 일본인 관광객은 그간 감소세를 이어오다가 지난해 2월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계속 늘어나는 추세였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일본인 관광객 증가율이 전년 대비 10%대에 달했지만, 최근에는 그 증가율이 둔화됐다.

그러잖아도 지난 3월 이후 '사드 보복' 여파(한국행 단체 관광 상품 판매 금지)로 큰 타격을 입은 국내 관광업계의 처지가 난감해졌다. 3월의 경우 중국 관광객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나 급격히 감소한 상태다. 일본은 물론 동남아시아 쪽으로 시장을 다변화하려던 전략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4월말부터 5월초 황금연휴 관광 특수를 맞아 동아시아 인적 교류가 활발해진다. 한·중·일, 그 가운데서 한국만 황금 특수를 누리지 못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은 사드를 빌미로 한국 관광의 빗장을 걸어 잠갔고, 일본도 한반도 위기설을 고리로 관광 전쟁을 벌이고 나섰다. 이럴 때일수록 해외 관광보다는 국내 관광에도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