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향후 50년 내에 충남 섬 거주 인구가 무려 60%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면 종국에는 마을이 소멸되고 말 것이다. 섬 거주인구의 감소는 한계마을과 깊은 연관이 있다. 한계마을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인구가 없어 마을의 기능유지가 한계에 달한 곳을 일컫는다.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농촌마을이 전국 도처에 산재해 있다. 섬지역도 여기서 예외는 아니다.

충남지역 도서에 거주하는 인구는 지난해 기준 총 1만7049명이다. 이 인구가 50년 후인 오는 2066년에는 6891명으로 59.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섬의 인구변화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보고서에서다. 도서인구 감소의 주원인은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다. 섬주민의 평균 연령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노인들만이 남아 섬을 지키는 곳이 적지 않다.

충남 도서지역 인구의 29.1%가 65세 이상 노령층으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 비율이 50년 후인 2066년에는 38.7%로 뛸 전망이다. 인구의 고령화 속도를 짐작케 한다. 보고서는 충남도내 33개 유인도서 중 보령 증도·추도, 당진 대조도, 태안 궁시도·두지도 등 5개 섬은 50년 내에 거주인구가 '0명'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거주인구가 없으면 무인도로 전락하게 된다.

이런 사태는 막아야 한다. 섬은 단순 거주지의 역할을 떠나 해양주권 수호·국토의 외연확대라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수산자원의 보고(寶庫)이자 해양관광의 첨병 역할을 하는 곳이다. 하지만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섬 거주민은 점차 육지행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보고서는 10인 미만 거주 도서는 특별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도(離島)현상을 막기 위한 대책마련이 긴요해 보인다.

떠나는 섬에서 들어오는 섬으로 만들어야 한다. 젊은이들이 섬에 정착해야 섬의 지속발전 가능성이 확보된다. 실제 남해안의 몇몇 섬은 전복양식 사업 등이 성공하면서 고향을 떠난 사람들이 되돌아오고 있다고 한다.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해 봄직하다. 어업활동지원, 관광산업 육성과 같은 도서별 맞춤형 정책으로 섬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 섬마을이 소멸되지 않도록 무인화 방지에 나설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