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9 장미대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간에 구축된 양강 구도에도 변화의 흐름이 드러나고 있다. 지지율 격차가 점차 벌어지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변수는 흔들리는 표심이다. 각 정당이 지역공약을 잇따라 쏟아내며 중원표심을 노리고 있지만 지역 민심은 싸늘하다. 비중 있는 지역 공약을 찾기 어렵다.

충청권 공약 중 눈길을 끄는 어젠다는 '세종시의 행정수도 개헌 명문화'를 제외하고는 빅 이슈는 실종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앙 위주의 공약에 치우친 나머지 지역공약 경쟁의 기조가 사라지고 있는 게 아닌가. 차별화된 내용을 찾기 힘들다. 대동소이한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겉포장만 화려하게 장식하고 실속이 없는 내용도 지적되고 있다.

대전의 경우 각 후보들이 핵심 공약으로 과학도시 내지는 4차산업혁명특별시로 육성하겠다고 한다. 문 후보는 이를 위해 미래융복합 산업단지 조성을 공약했다. 대동·금탄동 일원 256만㎡에 ICT 기반 '스마트 융복합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안 후보도 유사하다. 특화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구상까지 똑같다. 다만 스마트공장 집적화 단지, 스마트시티 상용화 단지 조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도 용어만 다를 뿐 내용은 비슷하다.

충남은 장항선 복선 전철화 사업, 내포 신도시 개발을, 충북은 바이오산업 육성, 교통망 확충을 공통적으로 제시했다. 대전·세종·충남북 4개 시도가 지난 1월 충청지역 대선 공약 과제 40개를 선정, 각 정당 후보들에게 대선공약화해줄 것을 요구한 내용 가운데서 추려낸 것들이다. 각 정당이 지역공약을 창의적으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지역 요구를 수용하는 방식에 의존하다 보니 각 정당마다 유사한 정책이 나오는 것이다. 정작 지역 주요 현안이 제외되는 경우도 있다.

결국 그런 가운데서도 각 후보 공약을 검증하는 건 충청 유권자의 몫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지난 대선 당시 경합지역인 충청권에 가장 많은 지역 건설공약(전국 51개 가운데 18건)을 약속했지만 공약 이행은 영남·수도권 위주로 진행했다. 충청 표심이 무서운 줄을 보여줄 차례다. 공약의 이행 가능성과 이행 의지를 잘 살펴보자. 공약 내용의 모호성, 재원 조달 방안 등이 판단의 기준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