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업들은 구인난에 시달리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얻지 못해 안달인 일자리 미스매칭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지역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주로 수도권 소재 대기업의 문을 두드리다보니 지역 업체들은 우수인력을 뽑으려 해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지역에서 배출된 인재가 지역에서 봉사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가 정착돼야 한다. 그것이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지름길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지역인재가 지역사회를 변화시킵니다'라는 슬로건아래 산·학·관·언론이 의기투합한 이유다. 어제 본보 회의실에 대전시, 대전시교육청, 대전권대학발전협의회, 대전상공회의소 수장들이 모여 지역인재 육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지역 언론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주도적으로 나선 건 고무적이라며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본보는 이들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지역인재들의 채용길을 넓히는데 매진할 것이다.

산·학·관이라는 수레바퀴가 삐거덕 대지 않고 잘 돌아갈 수 있게끔 머리를 맞대야 한다. 학원은 우수인력을 양성하고, 지역기업은 지역에서 배출된 인력을 아낄 줄 알아야 한다. 지자체에는 학원과 기업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이 주어졌다. 기업 인력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어제 '2017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에서 올해 신규인력 채용 규모가 작년 대비 7% 가까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지역의 고용사정은 더 열악하다. 이럴 때일수록 지역의 우수인력이 외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 대전지역 4년제 대학에서 한해 2만명 안팎의 졸업생이 쏟아져 나온다. 2~3년제 대학 졸업생까지 합하면 그 수는 2만7000여명으로 늘어난다. 이중 취업자의 절반 정도는 수도권 등 타 지역에 취업한 것으로 대학 측은 분석하고 있다. 그러니 지역기업들이 우수인력 확보에 애로를 겪을 수밖에 없다.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발굴해야 한다. 대전은 대기업과 제조업 기반이 타 지자체보다 취약하다. 지역인재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까닭이다. 지역인재들 또한 무조건적인 대기업·수도권기업 선호 주의에서 탈피해야 한다. 산·학·관·언론에 막중한 임무가 주어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