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영 충북도교육정보원 교사
[투데이춘추]

3월 31일, 그토록 오래 기다리던 세월호가 목포항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아직 진실은 여전히 수몰된 채, 미수습 희생자들과 함께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최대의 희생자가 학생들이었던 만큼, 세월호는 교육관계자들에게 하나의 화두이거나 트라우마가 되어 끊임없는 물음을 던진다. 우선 진실부터 낱낱이 밝혀져야 우리의 과제도 자명해지겠지만, 일단 몇 가지 오해는 풀었으면 좋겠다.

먼저, 세월호 참사가 안전불감증이 빚은 비극이었기에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이다. 그간 우리 학교현장에서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이 미흡했고, 실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이 많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안전교육을 강화하자는 데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를 교훈삼아 교사와 학생들의 안전불감증을 개선하자고 강조하는 것은, 사건의 원인을 너무 지엽적인 데로 돌리고 마는 일이다. 세월호 참사는 교사와 학생들의 안전불감증 때문이 아니라, 국가재난시스템의 총체적 부실, 국가 권력을 이끌어가는 고위 관료들의 도덕불감증이 빚은 비극이다. 제2의 대참사를 막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국회의원, 장관 등 고위 공직자를 대상으로 위기관리 리더십 교육, 권한과 책임 행사에 관한 윤리교육을 철저히 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가 '말 잘 듣는 아이'를 양산해 온 교육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주장도 때로는 논점을 엇나간다. 세월호에서 방송지시를 듣고 가만히 기다린 아이들의 태도를 문제 삼는 것은 부적절하다. 정상적인 재난구호체계가 작동했더라면 방송지시에 따라 질서를 지키고, 묵묵히 자기 차례를 기다린 아이들의 성숙한 시민정신이 빛났으리라. 이 상황의 진정한 교훈은, 우리가 직면한 현실에 대해 배우는 교육이 필요했다는 점이다. 성숙한 민주사회를 이루지 못했을 때 부정한 권력이 형성되고, 그 부정한 권력은 국민들을 수호하기는커녕 생존을 위협하는 내부의 칼날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했어야 한다.

아무리 가슴을 치고 후회해도 바람처럼 흩어진 아이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봄비도 꽃내음도 서글픈 4월에 교육현장에 살아남은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가? 정의와 평화를 소중히 여기는 교육, 인권과 생명의 존엄성에 공감하는 교육, 이렇게 소중한 것들을 위해 의지를 세우고 실천하는 교육을 이어가야 한다. 특히 사회 일각에서 희생자와 유가족들을 욕보이는 막말이 쏟아질 때, 공교육체제 60여 년이 흘렀어도 인간의 기본 상식조차 배우지 못한 이들이 저렇게 많다는 것에 대해 뼈저리게 반성하며, 다 함께 다짐해야 할 것이다, 인간다움을 실현하는 교육의 본질에 대해 지행일치라는 수 천 년 된 배움의 자세에 대해.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