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북도는 가금류 392만여 마리가 살처분 될 정도로 맹위를 떨쳤던 조류인플루엔자(AI) 상황이 오늘(21일)자로 해제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16일 음성군 맹동면 육용 오리 농장에서 전국 첫 AI가 발생한지 장장 125일 만에 AI 상황이 종료되는 것이다. 도가 AI 상황을 종료한다고 해서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전국 도처에서 AI 이상 징후가 속속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AI 피해는 예상외로 컸다. 도내에서만 6개 시·군 108개 농가의 닭과 오리 392만여 마리가 살처분 됐다. 음성군에서만 가금류 276만4000여 마리가 살처분 됐다. AI 상황 종료는 가축사육 농가에 대한 환경검사에서 AI 바이러스가 음성으로 나온데 따른 조처다. 이로써 충북 도내 전역의 이동제한이 풀리게 됐다. 도내에서 오리나 닭의 사육이 가능하고, 이동에도 큰 제한이 없다.

전국적으로 AI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경계를 늦춰선 안 된다. 지난 19일 충남 논산시 광석면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AI가 발생해 산란계 92만여 마리와 인근 농장의 어린 닭 10만여 마리 등 100만여 마리에 대한 살처분 작업에 들어갔다. 전북 익산에서도 최근 AI가 발생해 가금류 20만 마리를 살처분 했고, 전남도는 나주, 영암 등 6개 시·군에 월말까지 가금류 입식 자제를 당부했다. AI 확산 추세가 예사롭지 않다.

충북의 AI 상황 종류는 많은 과제를 남긴다. 400만 마리에 달하는 가금류가 살처분 된 건 조기 방역에 문제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 가축전염병은 조기 확산 차단 여부에 따라 피해 규모가 결정된다. 물론 다른 지역보다 앞선 AI 상황 종료는 평가할 일이다. 살처분이 능사인가에 대한 의견도 엇갈린다. 방역당국은 AI 확진 판정이 내려지면 반경 500m는 관리지역, 3㎞는 보호지역 방역대로 정해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지역 가금류를 살처분 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살처분이 AI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건강한 가금류까지 무조건 살처분 하는 것은 과잉대응이라는 지적도 있다. 충북도는 AI 발생에서 종료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상황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적절히 대처했는지, 문제점과 보완할 점은 없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다. 그래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