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기획평가원·출연연혁신위, 사회문제 연구 시스템 구축 예정
공공적 사회이슈 활용 대안 제시, 시민사회 참여 기획 연구 등 집중

대덕연구단지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연구실을 벗어나 세상으로 뛰어든다. 연구실에서만 이뤄지던 연구를 탈피해 환경, 질병, 재난 등 사회에서 벌어지는 각종 문제 해결에 출연연의 연구가 활용될 전망이다.

24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 출연연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 등에 따르면 ‘사회문제해결형 연구’에 대한 기틀을 체계화하고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혁신위는 이달 초 자체 혁신방안을 확정하며 연구 경쟁력 혁신을 위해 ‘국가사회문제 해결형 연구 집중’을 전략으로 내세웠다. 지난 20일 KISTEP은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 운영관리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문제점부터 국가과학기술심의회부터 정부부처, 기관, 연구자까지 각각의 역할에 대한 임무를 제시했다.

가이드라인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요조사가 그간 미흡했고, 정부부처 간 칸막이식 기획으로 타 부처 과제를 경시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 활동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체계가 없어 여전히 논문과 특허만이 성과로 제시돼 실질적인 사회 효과 변화에 대한 평가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공공연구가 경제성이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정책과 제도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KISTEP은 기존에 진행되던 일반 연구·개발과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을 분리해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성장에 집중된 연구를 벗어나 공공적인 성격의 사회 이슈에 활용되도록 대안을 제시했다.

혁신위는 이 같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덕연구단지의 출연연이 연구실을 탈피해 연구자 중심의 목표가 아닌 정책, 제도, 시민사회, 사용자, 이해당사자가 참여해 기획하는 연구에 집중키로 했다.

특히 사용자 참여형 실증 구현 프로그램인 ‘리빙랩’ 방식을 채용해 현장 지향성을 높이고, 문제의 대안 탐색부터 실험, 평가까지 진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출연연은 많은 변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기존 연구 중심의 기술개발과 차이가 커 연구자들이 익숙지 않아하는 부분을 개선을 통해 바꿀 예정이며, 출연연 공동 대응 등 새로운 접근방식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혁신위 관계자는 “혁신안에 이어 가이드라인까지 제시돼 출연연이 사회와 상호작용으로 문제를 해결해 국민과 한 걸음 다가갈 통로가 생겼다”며 “시민이 피부로 느끼는 문제에 대해 출연연이 앞장서 해결방안을 찾고 공공성 부문을 강화할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정재훈 기자 jjh11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