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북의 인구가 13년째 증가세를 기록했다. 충북 인구(외국인 포함)는 지난해 162만 7274명으로 2015년 161만 6589명보다 1만 535명이 늘어났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세종, 제주, 경기, 충남에 이어 5번째 높은 인구증가율이다. 충주 기업도시와 진천·음성 혁신도시 건설 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13년째 인구가 증가했다고 마냥 기뻐할 일도 아니다. 당장 세종특별자치시 건설에 따른 인구 이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수도권 인구가 아닌 충청권 인구가 몰리는 이른바 ‘빨대 현상’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세종시가 전국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한 2012년 이후 지난해 말까지 4년 6개월간 세종시 순이동(전입자-전출자) 인구 14만 2505명 가운데 대전·충남·충북 인구가 59.7%(6만 6614명)를 차지했다. 반면, 경기·서울 등 수도권 인구는 30.2%(3만 5433명)에 그쳤다.

대전·충북·충남 인구를 흡수하는 것은 충청권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세종시 건설취지인 국가균형발전에도 역행하는 일이다. 문제는 앞으로 이런 현상이 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정부부처 4단계 이전이 끝나 대부분의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된 만큼, 세종시로 이전하는 중앙부처 공무원은 줄어드는 반면, 대전시 등 인접한 지역의 공공기관 이전이 가속화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기능을 분산하기 위한 세종시 건설이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 식으로 진행된다면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건설 가치인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에도 맞지 않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행정자치부 등 중앙부처를 비롯해 국회 분원을 하루빨리 세종시로 옮김으로써 실질적인 행정수도를 만드는 것이 인근 도시의 이탈을 막는 방안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세종시 발전 방안 못지 않게 인근 도시의 퇴보를 막을 수 있는 해법 마련도 절실한 시점이다. 무엇보다 저출산·고령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일선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영·충·호(영남·충청·호남) 시대의 리더’는 구호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실행력을 담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