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대학교 박물관이 폐관 위기에 처했다니 안타깝다. 충청대 이사회는 다음달 이사회를 열어 교내 박물관 폐관 여부를 결정짓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충청대학교 박물관이 존속했으면 하는 게 충청인들의 하나같은 바람이다. 충북도내 박물관과 미술관 등 30곳이 모여 만든 충북도박물관협의회가 그제 대학 측에 "박물관 폐관 논의를 즉각 중지하고 창의적인 운영 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촉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충청대학교 박물관은 3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한다. 최근까지 월악산 제천 월강사지 발굴조사를 할 만큼 왕성한 활동을 이어왔다. 중부권을 중심으로 진행한 다양한 학술발굴조사로 충북역사를 재조명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 민속 유품까지 시대를 뛰어넘는 귀중한 유물 5000여점을 소장하고 있다. 지역의 역사적 자료이자 지역의 자부심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박물관의 폐관 수순 돌입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공동책임이다. 직접적 원인은 재정 부담으로 박물관 운영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여러 복합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교육당국의 대학구조조정도 그중 하나다. 구조조정 여파로 박물관 관련 학과가 사라지면서 폐관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이다. 구조조정의 희생양은 인문학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을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박물관은 지역문화의 구심체이자 대표적 문화시설이다. 과거 자료의 수집·전시라는 단순 개념에서 조사연구·교육활동에 이르기까지 기능이 확산되고 있다. 시민들의 문화향유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공공재이기도 한 박물관이 경제적 논리로 재단돼 폐관된다면 그로 인한 지역사회의 손실은 계량하기 어렵다.

박물관을 어떻게 존속시켜나가느냐의 과제가 남는다. 대학교만의 책임으로 돌려서는 곤란하다. 충북도와 청주시의 역할론이 제기되는 이유다. 대학 박물관은 지역을 떠나 국가의 중요 문화자산이기도 하다. 정책적 배려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충청대학교는 박물관 폐관을 섣불리 결정해선 안 된다. 지역 공동체와 머리를 맞대고 창의적인 운영방안을 강구하는 게 먼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