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쌀 우선지급금 일부 환수 방침에 농민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쌀 우선지급금 일부 환수는 우선 지급금 가운데 쌀값 하락으로 발생한 차액을 돌려받는 것으로 사상 초유의 일이다. 정부는 쌀값 확정에 따라 과다 지급된 금액을 환수하는 것은 투명한 재정운영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농민들은 우선지급금 일부 환수 방침은 정부의 쌀 수급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반증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6년산 공공비축미와 시장격리용 쌀 65만9000t에 대한 우선지급금을 환수하겠다고 밝혔다. 농가에 미리 준 우선지급금 보다 실제 쌀 가격이 낮게 책정돼 그 차액을 농가로부터 환수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임시로 쌀값을 책정해 돈을 지급한 뒤 연말에 최종 쌀값이 결정되면 농가에 차액을 추가 지급하고 있다. 쌀값이 워낙 떨어져 우선지급금을 환수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쌀값이 20년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할 정도로 하락했다. 수확기 산지 쌀값은 80㎏ 한 가마에 13만원 안팎에 거래돼 20년 전 13만6000원에도 못 미쳤다. 2016년도 공공비축미와 시장격리곡 매입가격은 80㎏ 한 가마에 12만9807원으로 확정됐다. 이에 따라 40㎏ 포대 벼 기준 특등급은 890원, 1등급은 860원, 2등급은 820원, 3등급은 730원의 환수요인이 발생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공공비축 및 시장격리에 참여한 농가는 약 25만 농가로 환수규모는 197억원이나 된다. 농림부는 농가별 매입실적을 기준으로 환수금액을 확정해 고지서를 발행키로 했다고 한다. 과다 지급한 금액을 환수하는 건 당연하겠으나 농민들로써는 영 못마땅한 게 사실이다. 가뜩이나 쌀값하락으로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닌데 받은 돈을 토해내야 할 지경인 까닭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쌀값 안정화다. 쌀값이 안정적이었다면 우선지급금 환수와 같은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우선지급금 환수에 드는 행정력 낭비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예측 시스템을 잘 가동해 재발을 막아야겠다. 우선지급금 환수를 둘러싼 갈등 해소 차원의 정책적 수단은 없는지 고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