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부터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으로 계란 값이 치솟더니 식용유까지 대란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남미 홍수로 콩 작황이 좋지 않아 업소용 식용유 가격이 10%가까이 오르고 있다. 식용유를 많이 사용하는 치킨집, 중국집, 전집 등 자영업자들에게 그 여파가 미치고 있다. 설을 앞두고 차례음식을 장만하는데도 주름살을 드리운다. 벌써부터 설 물가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식품이 생활물가 상승세를 주도하는 추세다. 지난해 신선식품 물가가 6년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밥상에 자주 오르는 채소, 생선, 과일 등의 가격이 잇따라 올랐다.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이지만 일반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는 훨씬 더 크다. AI 파동으로 계란 한판의 전국 평균가격(8444원)이 예년보다 50% 올랐다. 소비자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소면, 씨리얼, 김, 옥수수유, 부침가루, 빙과류 등이 6개월 사이에 10~20%씩 치솟았다. 건전지, 주방세제, 키친타월 등 일반 생필품 가격도 마찬가지다.

가격인상이 도미노처럼 전 품목에 번지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맥주, 콜라, 빵, 라면 등의 인상률이 5~10%에 이른다. 맥주와 소주는 다음 주에 또 오른다. 빈병 보증금 인상을 반영해서 100원까지 오른다. 1위 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주도하는 인상을 준다. '최순실 게이트'의 어수선한 정국을 틈타 물가 인상을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지우지 못한다.

물가가 인상되면 서민들만 어려움이 가중된다. 수출과 소비의 동반 부진으로 불황의 늪이 심상치 않는 마당에 취업난과 더불어 가계소득까지 감소돼 서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물가인상으로 인한 민간소비위축은 궁극적으로 저성장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게 뻔하다. 지난해 산유국의 감산 합의 이후 석유류와 공산품 가격도 심상치 않다. 미국 금리 추가 인상과 함께 달러 강세로 인한 수입물가 인상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자고나면 물가가 오른다'는 서민들의 볼멘소리가 넘쳐난다. 설상가상으로 일부 지자체가 올해부터 교통비, 하수도 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을 올리거나 올릴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그 인상 시기와 폭을 재조정할 수 있는 여지는 없는지 따져 볼일이다. 설날을 앞두고 민생안정에 한 치도 허술함이 없어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