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현 농협이념중앙교육원 교수
[투데이춘추]

고독사가 점차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고독사'는 혼자 죽음을 맞이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 발견되는 고독한 죽음을 의미한다. 세상과 단절된 채 혼자 살다가 생을 마감하고, 그 주검이 오랫동안 방치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심지어 숨진 지 몇 년 만에 백골상태로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지역사회 공동체가 무너진 것이 큰 이유이다.

세계 최고 장수국가인 일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던 고독사가 우리에게도 이젠 강 건너 불이 아니다.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의하면 무연고 사망자수가 2013년 878명, 2014년 1008명, 2015년에는 1245명으로 매년 증가되고 있다. 또 다른 통계자료에 의하면 고독사 위험이 있는 1인 가구는 2015년도 520만 가구로 전체의 27.2%를 기록했고, 홀로 거주하는 노인은 137만9000명으로 2005년에 비해 1.8배 증가했다.

이처럼 갈수록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고독사를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독거노인이 사회로부터 더이상 격리되지 않도록 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우리보다 먼저 고령사회에 진입한 선진국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 지자체마다 노인클럽을 활성화시켜 놀이뿐 아니라 노인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전문기술까지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독거노인의 가스사용 여부를 자녀와 친·인척 등 의뢰인의 휴대전화와 이메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독거노인 돌보미사업, IT가 접목된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보미사업(U-Care시스템)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독거노인 공동주거제'나 '독거노인 친구 만들기' 시범사업 등 지자체 별로 다양한 사업을 개발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사회 공동체 복원을 위한 정책적인 뒷받침이 절실한 시점이다.

특히 고령화문제가 심각한 농어촌지역에서는 '노인정'을 중심으로 공동체 복원지원이 더욱 강화되어야한다. 취사와 목욕 등 공동생활과 여가생활 지원, 공동 텃밭운영 지원 등으로 노인정을 건강한 공동체로 키워 나가야 한다. 이웃과 함께하는 사회, 혼자가 아닌 더불어 잘사는 사회가 선진사회이다. 우리도 이제 더이상 고독사를 지켜만 보아서는 안된다. 사회적 관심과 세밀한 정책이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