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1~2020)'에 충남도내 7개 항만 37건 2조8556억원이 반영됐다. 항만개발의 최상위 계획에 이 사안들이 포함됨에 따라 일단 사업 추진의 물꼬가 트였다고 볼 수 있다. 당초 충남도는 3조886억원을 반영 요청했으나 삭감 조정됐다. 전반적으로는 충남도가 환황해권시대를 맞아 역점을 두고 있는 3대특화항만(당진항·대산항·보령항)이 포함돼 그나마 다행스럽다.

충남도가 그간 '해양건도 충남'이라는 슬로건 아래 서해안 비전을 추진하면서 3대항만의 기능을 항만별로 특화한 내용이 보다 구체화됐다는 점을 특기할만하다. 예컨대 당진항 송산지구는 기존 제철·철강 전용항만에서 일반화물을 취급하는 상업항 기능을 추가하는 사업이다. 당진항 배후권역의 물동량을 평택항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져 물류비 절감 등 항만 활성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산항 역시 관리부두, 컨테이너와 자동차부두는 항만 인프라 변화와 더불어 다기능 복합항만으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충남서부 현안인 대산-당진간 고속도로가 건설되고 내년 상반기 국제여객선 취항이 현실화되면 대중국과의 인적·물적 교류의 거점 항만에 걸맞은 복합항만으로서의 기능변화가 불가피하다. 보령신항의 경우 항만시설용 부지가 반영된 것은 특히 괄목할하다. 1995년 국가항만 기본계획 고시에 이어 1997년 국가 7대 신항만으로 지정되고도 타당성 조사결과 사업이 무산돼 아직껏 방치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만큼 앞으로 가야할 길이 험준하기만 하다. 우여곡절 끝에 이번에 수정계획에 반영됐지만 후속 실행계획과 절차를 넘지 못하면 그만이다. 무산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것도 그러한 연유에서다. 하나씩 단계별로 후속 절차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수적이다. 상황과 시의에 적절하고도 유연하게 전략을 구사해야만 한다. 제4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충남도의 사정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미리미리 준비하는 일도 중요하다.

후속절차에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하겠다. 지역 정치권은 물론 충남도와 각 시군과의 공조, 관련부처와의 연계 등 치밀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아무리 사업계획이 화려할지라도 소요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을 추진할 수가 없다. 지난날의 사례를 보면 그대로 교훈으로 다가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