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예술창작활동의 어려움은 다른 사회발전 추세를 역행하는 듯 날이 갈수록 어려움이 가중된다. 영화 같은 분야는 영화사, 자본, 인력 등이 서울에 몰려 있어 로케이션이나 세트장 촬영 같은 일부 작업을 제외하고는 중앙 집중이 불가피하다 하더라도 개인차원의 창작에서는 지역 활동의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하는데 현실은 녹록치 않다.

우선 1차적 수용자인 지역주민들의 선입견이나 중앙 선호의식이 걸림돌이다. 서울에서 온 공연은 만원을 이루지만 지역 예술인들이 각고의 노력과 준비로 올리는 무대에는 자못 냉랭하다. 중앙 집중화를 비난하면서도 막상 일상에서는 중앙 선호로 치닫는 이율배반 의식구조와 행동은 해소의 기미가 더딘 편이다.

해법은 결국 지역예술인들이 부단한 각고의 노력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완성도를 이룬 작품을 연이어 보여줘야 하는데 여러 여건과 유통-수용환경이 여의치 않지만 점차 미더운 결실이 드러나고 있다. 굳이 서울이나 수도권으로 이주하여 활동하지 않더라도 가시적인 성과나 지명도를 얻는 가능성이 높아져야 한다. 개인 문필활동에서는 충북 보은군 마로면 향리에 거주하면서 현대 한국대표시인으로 자리를 굳힌 송찬호 시인과 세종에 터를 잡은 김영남 시인이 그러하고 단체활동으로는 근래 제1회 대한민국 연극제에서 대상과 연출상을 수상한 대전의 극단 나무시어터 연극협동조합의 '철수의 난'(사진·연출 김상열 대전대 교수)이 돋보인다.

지역연극의 열악한 여건을 딛고 이룩한 성과는 칭찬받아 마땅하다. 특히 서울을 포함한 전국대상의 경연대회로 개편된 첫 해 대상과 연출상이라는 값진 성과를 거두어 대전연극의 앞날을 밝게 했다. 주민들의 관심과 사랑으로 문화예술은 지역이라는 장벽을 넘어 당당히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아간다. 우리 지역 미술인들의 전시회, 문인들의 저서, 지역연극 공연에 새로운 눈길을 모아야할 필요성이 지역예술인들의 지칠 줄 모르는 열정과 결의로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한남대 프랑스어문학과 교수·문학평론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